디자인출원과 특허출원의 차이 비교

특허와 디자인출원, 무엇이 다를까요? 두 제도의 차이와 활용 전략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창업자·스타트업에게 꼭 필요한 가이드입니다.
HARRISON YJ KIM's avatar
Aug 04, 2025
디자인출원과 특허출원의 차이 비교

“내 아이디어는 특허로 보호해야 할까, 디자인으로 보호해야 할까?”
많은 창업자·발명가·디자이너분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부분입니다.
특히 제품을 개발할 때는 기술적 아이디어와 시각적 형태가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더더욱 구분이 어렵습니다.

오늘은 특허와 디자인출원의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드리면서, 각각을 언제 활용하면 좋은지, 그리고 스타트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실제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안내해드리겠습니다.


① 보호 대상의 본질적인 차이

  • 특허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호합니다.
    즉, “어떻게 작동하는가, 어떤 원리로 문제를 해결하는가”에 초점이 있습니다.
    예: 새로운 엔진 구조, 데이터 압축 방식, 공정 개선 기술

  • 디자인출원은 제품의 ‘외관’을 보호합니다.
    즉, “보는 사람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형태”를 권리로 삼습니다.
    예: 스마트폰의 둥근 모서리, 화장품 용기의 독창적인 곡선


② 등록 요건의 차이

  • 특허 등록 요건

    • 신규성: 이전에 공개되지 않았어야 함

    • 진보성: 기존 기술보다 한 단계 발전해야 함

    • 산업상 이용 가능성

  • 디자인 등록 요건

    • 신규성: 동일·유사 디자인이 없어야 함

    • 창작성: 통상의 디자이너가 쉽게 생각할 수 없는 독창성

    • 공업상 이용 가능성: 실제 제품으로 생산 가능해야 함


③ 권리 범위와 강도의 차이

  • 특허는 발명의 원리를 포괄적으로 보호하기 때문에 권리 범위가 넓고 강력합니다.

  • 디자인권은 외관의 유사 여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외형만 달라지면 회피가 가능합니다.

즉, 기술 아이디어 자체는 특허로,
시각적 차별성은 디자인으로 보호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④ 실제 사례

  • 스마트폰 업계

    • 애플은 터치 인터페이스와 같은 기술을 특허로,

    • 둥근 모서리, 아이콘 배열을 디자인권으로 등록했습니다.

    • 이로 인해 삼성과의 소송에서 막대한 합의금과 판결이 이어진 사례가 있습니다.

  • 식품 업계

    • 컵라면 제조사는 조리 공정은 특허로,

    • 용기 모양과 패키지 디자인은 디자인권으로 보호해 시장 지배력을 높였습니다.


⑤ 창업자·스타트업의 전략

  1. 제품 개발 초기 → 기술적 아이디어를 특허로 확보

  2. 시제품·양산 단계 → 제품 외관을 디자인권으로 등록

  3. 브랜드 론칭 단계 → 상표 등록으로 명칭·로고 보호

즉, 특허 + 디자인 + 상표 3종 세트가 스타트업 지식재산 전략의 기본 골격입니다.


✅ 결론

특허와 디자인출원은 경쟁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입니다.
기술은 특허로, 외관은 디자인으로, 이름은 상표로 보호할 때 비로소 완전한 지식재산 포트폴리오가 완성됩니다.

“내 아이디어는 기술일까, 디자인일까?”
“어느 쪽으로 출원해야 더 안전할까?”

이런 고민이 있으시다면, 전문가와 함께 전략을 설계하시는 걸 권합니다.

📞 010-4900-3012
info@kimcoip.com
💬 상담 신청: https://open.kakao.com/o/s6AdzShe

Share article
Write your description body here.

당당특허법률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