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전에 확인하는 디자인침해 판단 기준

일반 관찰자 테스트는 디자인침해 판단의 중심 기준입니다. 전체적 시각적 인상, 디자인 자유도, 구매자 주의 정도까지 차근차근 설명하고, 출시 전 셀프 점검 절차와 회피 설계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HARRISON YJ KIM's avatar
Aug 13, 2025
출시 전에 확인하는 디자인침해 판단 기준

일반 관찰자 테스트는 디자인침해 판단의 중심 기준입니다. 전체적 시각적 인상, 디자인 자유도, 구매자 주의 정도까지 차근차근 설명하고, 출시 전 셀프 점검 절차와 회피 설계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왜 지금 이 기준을 알아야 하나

신제품 사진이 공개되는 순간부터 모방과 혼동 위험이 생깁니다. 특히 패키지나 기구, 생활용품처럼 외관이 구매를 좌우하는 제품은 더 민감합니다. 법원은 세부 치수 하나하나보다 소비자가 받아들이는 전체적 인상을 중시합니다. 그 핵심이 일반 관찰자 테스트입니다.

일반 관찰자 테스트의 기본 개념

  • 전체적 시각적 인상: 일반적인 수요자 입장에서 두 디자인을 보았을 때, 전체적 인상이 실질적으로 유사한지 판단합니다.

  • 요소의 비중: 선·면의 배치, 비율, 굴곡, 대비, 색채 조합처럼 한눈에 들어오는 특징이 중요합니다.

  • 세부 차이의 한계: 사소한 디테일 차이가 있어도 전체 인상이 비슷하면 침해로 볼 수 있고, 반대로 포인트가 다르면 여러 유사점이 있어도 비침해가 될 수 있습니다.

판단에 영향을 주는 보조 요소

  • 디자인 자유도: 기존 시장과 선행디자인이 많아 선택 폭이 좁다면 작은 차이도 의미가 커집니다. 반대로 자유도가 넓으면 차별 포인트가 더 확실해야 합니다.

  • 수요자의 주의 정도: 고가·전문 제품은 구매자가 더 주의 깊게 비교하므로 동일 판단 기준에서도 차이가 커질 수 있습니다.

  • 사용 태도와 시야: 매장에서 정면 위주로 보나, 손에 들고 여러 각도로 보나에 따라 지배적 인상이 달라집니다.

사례로 이해하는 비교 방법

  • 유사한 곡률의 윤곽, 중앙의 큰 원형 포인트, 하단의 두꺼운 띠가 결합된 전면 인상이 두 제품에 모두 나타난다면, 로고 위치나 미세한 각도 차이만으로는 회피가 어렵습니다.

  • 반대로 윤곽이 각형으로 바뀌고, 포인트가 상단으로 이동하며, 띠가 얇아지고 색채 대비가 반전되었다면 전체 인상은 달라질 가능성이 큽니다.

출시 전 셀프 점검 5단계

  1. 비교 대상 수집: 선행디자인과 경쟁 제품 이미지를 최대한 모읍니다.

  2. 뼈대 스케치: 윤곽선, 포인트 위치, 큰 면의 비율을 단순 스케치로 겹쳐 봅니다.

  3. 지배 요소 확인: 처음 시선이 머무는 요소를 3개 내로 압축해 두 디자인에서의 위치·크기·비율을 비교합니다.

  4. 자유도 판단: 해당 분야에서 흔한 요소인지, 희귀한 조합인지 체크합니다.

  5. 회피 설계 선택: 윤곽, 포인트, 대비 중 하나 이상을 확실히 이동·변형해 전체 인상을 바꾸는 안을 선택합니다.

회피 설계의 실전 포인트

  • 윤곽 우선: 외곽 실루엣을 원형에서 각형, 직선에서 곡선으로 바꾸면 인상이 크게 달라집니다.

  • 포인트 이동: 로고 영역이 아니라, 형태적 포인트의 위치와 크기를 바꾸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대비 재구성: 색채·재질 대비를 반전시키되, 형태 변화와 결합해야 안정적입니다.

증거와 기록이 필요한 이유

  • 사용증거: 시제품 사진, 랜딩페이지 시안, 패키지 목업을 출시 전부터 보관합니다.

  • 비교표: 우리 디자인과 선행디자인의 차이를 표로 정리해두면 분쟁 시 설명이 수월합니다.

  • 공개 시점 관리: 전시·체험단 공개 전에 출원이나 비밀디자인을 고려합니다.

자주 생기는 오해

  • 로고가 다르면 안전하다는 생각: 로고는 참고 요소일 뿐, 형태 인상이 같으면 위험합니다.

  • 치수만 조정하면 된다는 생각: 비율·위치·관계가 바뀌지 않으면 전체 인상은 그대로일 수 있습니다.

  • 색만 바꾸면 된다는 생각: 색채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으며, 형태 변화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요약

일반 관찰자 테스트는 전체 인상을 본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윤곽·포인트·대비 중 하나 이상을 확실히 바꾸고, 출시 전 점검과 기록을 루틴으로 만들면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안내

현재 시안을 공유해 주시면 셀프 점검표와 회피 설계안을 차분히 정리해 드립니다.
전화 010-4900-3012
이메일 info@kimcoip.com
상담 신청 https://open.kakao.com/o/s6AdzShe

Share article

당당특허법률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