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패키지 디자인 등록 사례 – 진열대에서 팔리는 디자인을 권리로 바꾸는 방법
식품 패키지 디자인등록으로 모방 제품을 막아낸 과정을 실제 흐름대로 정리했습니다. 패키지 구조·라벨 배치·색채 전략, 도면 구성과 심사 대응 팁을 제공합니다.
식품 패키지는 왜 모방 타깃이 되나
식품은 구매 결정이 진열대 몇 초 안에 이루어집니다. 용기 형태, 라벨 레이아웃, 색채 조합이 곧 매출로 연결됩니다. 이 시각 요소가 모방되면 소비자는 쉽게 혼동합니다. 식품 디자인등록은 이 외관 요소를 법적으로 보호해 분기 매출의 변동을 줄여 줍니다. 키워드 관점에서 식품 디자인등록, 패키지 디자인 보호 전략이 핵심입니다.
사례 개요
스낵 파우치로 시장 진입을 준비하던 팀은 상단의 곡선 씰라인, 중앙의 투명 윈도우, 하단의 리본형 컬러밴드를 핵심 요소로 삼았습니다. 크라우드펀딩 공개를 앞두고 유사 제품이 등장하자, 공개 전에 디자인출원을 진행하고 비밀디자인으로 일정 기간 비공개를 선택했습니다.
절차와 전략
1. 특징 도출
구조: 상단 곡선 씰, 중심 투명창, 하단 리본 밴드
무늬·색채: 투톤 컬러와 배색 비율, 투명창의 비율
핵심을 3~5개로 압축해 도면과 설명의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2. 도면 구성
6면도 + 사시도 기본
투명창은 실선으로 외곽을, 내부 내용물은 생략
컬러를 주장할 필요가 있어 색채 도면 병행
3. 출원 조합
전체디자인 1건
부분디자인 1건(하단 리본 밴드만 실선)
유사디자인 2건(색상·비율 변형)
패키지 라인업을 하나의 포트폴리오로 묶어 향후 신제품에도 적용 가능하게 설계했습니다.
4. 심사 대응
선행디자인과의 차이를 세 단계로 설명
외형 구조: 곡선 씰라인과 투명창의 상대 위치
비율: 창과 밴드 면적 비
시각 인상: 전면에서의 주시 포인트 이동
지적된 부분은 보정도면으로 정합성 강화
5. 등록 후 운영
패키지 변경 시 핵심 인상 유지 여부를 사전에 검토
유사 제품 발견 시 진열 사진·영수증·상세페이지를 즉시 수집
온라인 마켓에 디자인권 등록증 사본과 함께 침해 신고
숫자로 보는 효과
공개 전 출원으로 선점 리스크 제거
라인업 유사디자인 확보로 시즌 컬러 변형에 즉시 대응
플랫폼 신고 처리 속도 단축(권리 증빙 제출로 신속 조치 가능)
식품 패키지에서 자주 생기는 이슈
그래픽만 보호된다고 생각해 용기 형상을 간과
사진·렌더만으로 제출해 각면 정합성이 부족
색채 주장을 하지 않아 색상만 바꾼 모방을 제지하기 어려움
실무 팁
구조와 그래픽을 분리해 각각 보호할 수 있도록 전체·부분디자인을 병행
투명창·에지 곡률·테두리 두께 등 수치화 가능한 요소를 설명문에 반영
시즌 한정판을 고려해 유사디자인으로 사전에 색상 변형권을 확보
요약
식품 패키지의 판매력은 외관이 좌우합니다. 공개 전 출원, 핵심 인상에 집중한 도면, 전체·부분·유사디자인의 조합, 등록 후 증거 축적과 모니터링까지 이어지는 루틴이 필요합니다. 패키지 디자인을 미리 권리로 전환하면 진열대에서의 혼동과 가격경쟁 압박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문의
패키지 시안과 출시 일정을 공유해 주시면 가장 효율적인 출원 조합과 도면 구성을 제안드립니다.
전화 010-4900-3012
이메일 info@kimcoip.com
상담 신청 https://open.kakao.com/o/s6AdzShe